반응형
SMALL
소아 골절, 소아 탈구, 소아 염좌에 따른 응급처치 방법
유아기 아이들은 영아기 시기에 비해 대근육과 소근육이 발달하여 잘 걷고 잘 뛰기 시작하나 발목과 종아리의 근육이나 몸의 균형 능력은 아직 미숙하여 활동하거나 놀다가 발목, 팔꿈치, 어깨관절 등을 부러지거나, 뼈가 빠지거나, 삐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또한 유아의 경우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거나 불완전 골절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 골절의 경우
골절은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진 경우를 말한다.
단순 골절과 복합골절로 구분된다. 단순골절은 피부가 손상되지 않고, 골절 부위 근처에 상처가 없는 경우를 말하며, 복합골절은 부러진 뼈에 의해 골절 부위의 피부나 혈관 등 신체조직이 손상되거나 파괴된 경우이다. 증상은 골절 부위가 부어오르고, 심한 통증이 있으며, 골절된 부위 아래쪽을 움직일 수 없으며, 골절 부위 피부가 멍이 든 것처럼 파랗게 변하거나 형태가 변한다.
* 소아 골절시 응급처치 방법 *
① 서두르거나 당황하지 말고, 아동을 안정시킨다.
② 아동을 움직이지 않게 하고 119구조대에 연락한다
③ 구조대원이 올 때까지 골절 부위에 부목을 대고 고정한다.
④ 복합골절로 뼈가 피부 밖으로 나온 경우에는 함부로 상처를 건드리지 말고, 출혈이 있을 경우 부드럽게 눌러 지혈한다.
⑤ 틀어진 팔과 다리의 모양을 바로 잡으려 시도하거나 움직여 보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소아 탈구의 경우
탈구는 관절 속에 있는 뼈가 원래의 자리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말한다.
아동의 팔은 갑자기 잡아당기거나 팔을 잡고 원을 그리며 돌 때, 아동이 격한 동작으로 활동을 하거나 운동을 할 때 탈구의 위험이 있다. 아동기에는 탈구가 자주 일어나는데 흔히 탈구가 되는 부위는 어깨, 손가락, 팔꿈치, 고관절 등이다. 증상은 탈구된 부분이 부어오르고 심한 통증으로 그 부위를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또한 건강한 쪽과 비교했을 때 탈구된 부위 관절의 형태가 변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소아 탈구 시 응급처치 방법 *
① 서두르거나 당황하지 말고, 아동을 안정시킨다.
② 상처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고 가능하면 냉찜질을 해주는 동시에 119 구조대에 연락하거나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하여 전문의의 치료를 받도록 한다.
③ 손상 당한 관절을 주무르거나 제자리로 뼈를 밀어 넣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도는 탈구된 관절을 더 심하게 손상시키고 영구적인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소아 염좌의 경우
염좌는 관절 부위의 근육, 인대, 건막 등의 손상을 말한다. 염좌 부위에 부종과 통증이 있고, 피부색은 멍이 든 것처럼 파랗게 변한다.
* 소아 염좌 시 응급처치 방법 *
① 서두르거나 당황하지 말고 아동을 안정시킨다.
② 염좌 부위에 부목을 대어 움직임을 방지한다.
③ 염좌 부위는 신체의 다른 부위보다 높게 위치하여 부종을 예방한다.
④ 냉찜질을 48시간정도 해주고 휴식을 취하게 한다.
⑤ 부종이 심하고 통증이 계속될 경우 병원으로 이송하여 전문의의 치료를 받도록 한다.
반응형
LIST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 정보 : 뇌수종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4.04.25 |
---|---|
육아 정보 : 서혜부 탈장의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4.04.24 |
육아 정보 : 결핵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4.04.23 |
육아 정보 : 타박상, 열상, 찰과상, 자상과 같은 여러가지 상처 관리법 (0) | 2024.04.22 |
육아 정보 : 소아비만의 원인과 치료 방법 (1)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