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육아 정보 : 간질의 원인과 치료방법

슬기로로 2024. 4. 28. 09:32
반응형
SMALL

 

 

간질( Epilepsy )

간질발작병소라고 하는 부위의 뇌세포들이 과잉으로 자극받아서 자연적으로 전기적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한다. 간질의 발병률과 유병률은 후진국에서 선진국보다 2 ~ 3배 높게 나타나며, 생후 1년 이내에 가장 높았다가 급격히 낮아지고 청소년기와 중.장년기에 걸쳐서 낮은 발병률을 유지하다가 65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다시 급증하는 U자형의 형태를 보인다. 

 

간질의 원인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소, 선천성 기형, 미숙아, 분만 직후의 머리 손상, 뇌염, 뇌종양, 뇌종중, 퇴행성 뇌의 병변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나 대부분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감수성이 예민한 아동에서는 피로, 스트레스, TV, 비디오게임, 음악, 햇빛 등의 일시적인 병리적 자극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간질의 발생률과 발생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르나 생후 2년 동안에 가장 흔하다.

출생에서 6개월까지는 분만 전후의 손상, 뇌의 발달이상, 선천성 기형, 중추신경계의 급성 감염 등이 원인이 되고, 6개월에서 24개월까지는 급성 열성경련, 중추신경계의 급성 감염, 분만 전후의 손상, 뇌의 발달이상 등이 원인이 된다.

2세에서 6세까지 특히 3세 이상의 아동에서는 가장 흔한 원인이 특발성이다. 또한, 뇌의 발달이상, 분만 전후의 손상, 중추신경계의 급성 감염, 뇌종양 등이 원인이 된다. 

 

간질 발작의 종류

 

발작에는 대표적으로 2가지 형태가 있으며, 각각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 부분발작( Partial seizure )

: 대뇌피질 주위에 국한된 발작 발생지점으로부터 비정상적인 방전에 의해 초래되며, 다시 단순부분발작, 복합부분발작, 2차성 전신화 발작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전신발작( Generalized seizure )

: 국소발작 없이 망상조직에서 일어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초기 발생은 좌우반구에서 시작되고 전조( Aura )가 없으며 최초의 임상 증상으로 의식소실이 나타난다. 발작은 밤, 낮 어느 때나 일어날 수 있으며 발작 사이의 간격은 몇 분에서 몇년이 걸릴 수도 있다. 전신발작은 다시 대발작(강직-간대성 발작), 소발작(결시발작), 무 긴장성 발작, 근 간대성 발작, 영아 연축 등 5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간질 발작의 증상 

ⓛ 단순 부분발작

- 의식이나 자각의 손실은 없다.

- 입가, 손가락, 발가락 등 같은 몸의 작은 부분에서 시작되어 다른 부위로 퍼져가는 운동발작이 있으나, 한쪽으로 나타난다.

- 감각, 정서 등 윙윙거리는 소리가 들리거나, 반짝이는 불빛이 보이거나, 놀라거나 화를 내는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② 복합 부분발작(정신운동성 발작)

- 발작 시 의식 장애가 나타난다.

- 주변 인식이 안된다.

- 갑자기 행동을 중단한다.

- 입맛을 다시거나 방에서 배회하거나 옷을 만지작거리는 등 목적 없는 행동을 한다.

 

③ 대발작(강직- 간대성 발작)

- 전신경련을 동반한 의식상실이 있다.

 

④ 소발작(결신발작)

- 의식상실을 동반한 비경련성발작

- 잠깐 동안 눈을 깜빡이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등 몇 초간 작은 움직임이 나타난다. 

 

간질의 치료 방법

 

치료의 목적은 원인을 찾아서 치료하고, 발작을 통제하여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 약물 요법

: 발작을 통제하는 항경련제를 사용한다. 항경련제는 발작역치를 높여 발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대발작에 대한 1차적인 약으로는 페니토인 소디움(Phenytoin sodium )이 있으며, 소발작의 특효약으로는 에토삭시미드( Ethosuximide ), 밸프로산( valproic acid ) 등이 있다. 약으로 발작이 통제되면 장기간 약물치료를 계속한다.

투여량은 효과의 지속성 등 약에 대한 정기적인 재평가를 통해 변경하면서 성장함에 따라 증가시킨다. 투약을 중단할 경우에는 1 ~ 2주에 걸쳐 점진적으로 투여량을 줄여나가야 하며 갑작스러운 중단은 오힐 발작을 촉진시킬 수 있다. 

 

- 수술 요법

: 국소적 뇌의 이상으로 오는 반복적 발작이 있는 아동의 경우, 발작이 혈종, 종양, 기타 진행성 뇌병변에 의해 초래된 경우 등은 수술요법을 시행한다.

 

- 미주신경 자극요법

: 미주신경 자극요법은 약물로 치료적인 효과를 볼 수 없을 때 사용하는데 부분발작, 12세 이상 아동에게 사용한다.

 

간질발작시 관리법

 

- 옷을 느슨하게 하여 호흡이 편하도록 해주고 조용히 눕힌다.

- 혀를 깨물지 못하도록 거즈나 천을 숟가락 등에 감아 입에 물린다.

- 침을 흘릴 때에는 닦아 낸다.

- 무리하게 손발을 누르거나 하지 말고, 환자가 경련하는 대로 내버려 두는 것이 좋다.

- 주위에 위험한 것이 있으면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 발작이 끝나면 깊은 잠에 빠지므로 그대로 둔다.

- 완전히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아동과 함께 있는다.

- 잠에서 꺠어나면 얼마동안은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 의식이 깨어나고 삼킬 수 있을 때까지 음료수나 음식을 주지 않는다.

- 부모나 보호자에게 경련에 관한 사항을 알리고, 병원을 방문하여 원인에 따라 치료를 받도록 한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