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육아 정보 :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

슬기로로 2024. 4. 20. 09:00
반응형
SMALL

 

후천성 면역결핍증( Acquired immuno deficiency syndrome / AIDS )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감염에 의해 생기는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면역계 질환이다. 
HIV는 다양한 증상 및 기회감염을 초래하는 바이러스이며,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으로 지리적이로는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원인

 

1차적인 원인은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 deficiency virus / HIV )이다.

아동에서의 에이즈의 감염은 주로 감염된 모체에서 태어난 수직 감염의 경우, 감염된 혈액을 수혈받은 경우, 청소년의 고위험 행위에 의해 발생한다.  전체 환아의 91%는 분만 전후에 감염되는데, 어머니로부터의 HIV 전파는 임신 중 30 ~ 40%이고, 분만 시 60 ~ 70%가 일어나고, 분만 후에도 일어난다. 수직감염의 위험요인은 34주 미만의 미숙아, 저체중아, 임신 중 정맥을 통한 약물남용이다. 수혈에 의한 감염은 전 환아의 7%를 차지하고, 청소년기 감염의 경우에는 약 1/3이 성적 접촉을 통해서 일어난다. 또한 모유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으므로 개발도상국가의 HIV 감염 엄마에게 인공 수유를 하도록 권장한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증상

 

증상은 감염된 방식과 연령에 따라서 다르다. 일반적으로 감염된 연령이 어릴수록 증상이 더 심하고, 질병이 더 빨리 진행되며, 예후가 좋지 않다. 

 

- 빠른 진행자

: 증상이 빨리 나타나는 이 집단의 영아는 성장 장애, 발달지연, 만성 또는 재발성 설사, 전반적인 림프절증, 이하선염, 간 및 비장비대, 폐렴, 빈혈, 혈솬 감소증, 재발성 칸디다증, 신장병증, 암 등이 있다. 

 

- 느린 진행자

: 증상이 느리게 나타내는 이 집단의 영아는 백혈구 감소증, 월령에 비해 T-세포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발달지연이 있을 수 있지만 발생빈도가 더 낮다. 학령기 이후 아동은 반복적인 세균감염, 전반적인 림프절증, 간과 비장 비대, 폐렴, 학교에서 수행저하, 피로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청소년은 성인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많은 경우 수년 동안 무증상일 수 있다. 임상 증상은 림프선 및 간 비대증, 아구창, 만성 혹은 재발성 설사, 성장후 장애, 발달지연, 이하선염이 있다. 성인의 주요 증상 중 하나인 카포시 육종( Kaposi's sarcoma )은 아동에서는 1%이하로 나타난다고 한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치료 방법

 

AIDS의 치료는 복잡하고 생리적으로,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문제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학문들이 서로 공유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의 목적은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생존을 연장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 ~ 4가지의 항레트로바이러스제( Antiretroviral drug )를 병합해서 치료한다. 병합치료를 하는 이유는 각 약물이 HIV의 각 생활 주기에 작용하도록 하고, 약물 내성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현재 어린이 AIDS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로는 디다노신( Didanosine ), 지도부딘( Zidovudine ), 스타부딘( Stavudine ), 인디나비르( Indinavir ), 사기나비르( Saginavir ) 등이 있다. 

 

후천성 면역결핍증 환자의 관리법

 

바이러스 전파 방지와 감염 질환 통제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고 교육의 핵심은 예방이다.

- 가족에게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과 건강전문인을 불러야 하는 시기에 대해 교육한다.

- 아동과 보호자 및 가족에게 적절한 영양의 원리에 대해 교육하고, 고단백질과 고칼로리 음식을 권장하고, 보충식이 필요한 경우 소량의 식사와 간식을 자주 준다. 

- 아동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적당한 활동을 제공하고, 격려하여 가족에게 아동의 정상 발달 지표에 대해 교육하고, 아동을 돌볼 능력에 대한 가족의 걱정에 대해 경청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역사회자원을 연결해준다.

- 가려움증, 통증 등에 관한 완화요법을 제공한다.

- 아동에게 알레르기가 있는 약물이 적혀 있는 응급표시 팔찌를 활용하도록 격려한다.

- 아동을 포함한 가족에 대한 반감, 차별, 폭력행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강전문인과 대중매체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계속 제공하도록 한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면역계 질환이다.
가장 좋은 치료법은 예방이 최우선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