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육아 정보 : 구순열과 구개열 원인과 치료방법

슬기로로 2024. 4. 11. 09:08
반응형
SMALL

 

 

구순열과 구개열

임신 초기( 5주에서 8주사이 )에 코와 입이 생기는 과정에서 비돌기, 상악돌기, 하악돌기들이 서로 만나 결합하는 과정이 완성되야 하는데, 어떤한 원인으로 인해 돌기들끼리 결합의 실패로 윗입술이 갈라진 상태로 출생한 경우를 구순열(cleft lip)이라고 한다. 토끼의 윗입술과 닮았다고 해서 '토순'이라고도 하고, 언청이라고도 한다. 

임신 9주에서 12주 사이에 경구개와 연구개의 결합이 일어나는데, 이 결합이 실패하여 입천장 부분이 갈라진 상태로 출생하는 것을 구개열(cleft palate)이라고 한다.
 
구순열과 구개열은 태생기에 방생하는 선천성 안면기형으로 단독으로 생기거나 함께 발생하기도 하는데, 구순구개열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는 800 ~ 1,000명의 출생아 중 1명 정도 발생하고, 단독으로 둘중 한 개만 나타나는 경우는 2,5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한다. 
 

구순구개열의 원인

: 유전과 환경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배종결함태아의 질환, 약막의 장애등이 원인이라고 추측하고 있으나,  아직 명백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보통 서양인보다 동양인에게 더 많이 발생되며, 구순열은 남자아이에게서 더 발생하며, 구개열은 여자아이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구순구개열의 진단

특별한 검사없이 입술이나 입천장의 모양을 보고 진단을 한다. 

하지만 얼굴의 뼈 모양을 정밀하게 보기위해 X-ray 촬영이나 CT촬영을 추가로 할 수도 있다. 

콧소리가 나거나 언어적 치료가 필요할 경우 입천장의 움직임을 보기 위해 방사선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구순구개열의 치료방법

: 조기에 갈라진 부분을 결합시켜 주고 적절한 교정과 훈련을 통해 정상발달을 촉진하도록 성형외과, 신경외과, 소아과, 치과, 이비인후과, 언어치료과 등 많은 의료과들의 협진으로 진료를 받아야한다. 

 

구순열 수술

 

원활한 수유를 위해 가능한 빨리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생후 1 ~ 2주 사이에는 건강 상태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생후 2 ~ 3주가 지나서 1 ~ 2개월 이내에 수술을 해서 교정하는 것이 좋다. 1차적으로 봉합수술을 하고, 생후 4 ~ 5세쯤 교정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구개열 수술

 

구개열의 경우 입천장 조직이 성형수술을 할 수 있을 만큼 어느정도 성장을 한 후에 교정 수술을 해야 한다. 

치아의 발육과 언어발달에 지장이 없도록 대부분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전후에 수술을 해서 복구를 한다. 

 

 

: 아무리 완벽한 수술이라 할지라도 약간의 흉터와 코, 잇몸, 위턱의 변형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추후에 교정수술이 추가로 진행할 수있고, 언어발달에 따라서 약 3세경에 발음에 따른 언어 치료를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구순구개열 아이 돌보기

구순구개열 아이 수유법

 

구순구개열이 있는 아이는 입과 비강 사이에 통로가 있어서 유유가 코쪽으로 흘러나오거나, 입안을 진공상태로 만들지 못해서 젖을 빨고 심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영양불량, 성장부진, 만성감염에 노출되어 있다. 

 

- 아이의 머리를 45 ~ 80º정도로 거의 앉아서 수유를 하면 질식을 예방할 수 있다. 

- 일반 젖꼭지는 빠는 힘이 부족한 아이들에게 부적합 하므로 젖꼭지의 구멍을 크게 하거나, 구개열 환아용 특수 젖꼭지, 또는 길고 부드러운 젖꼭지를 사용하여 아이들의 입속 깊숙히 들어가는 젖꼭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래도 젖병 수유가 안되는 아이의 경우 스포이드나 주사기로 사용하거나, 작은 숟가락을 이용해서 혀 뒤쪽으로 떠 먹여주는 방법도 있다. 

- 구순구개열이 있는 아이도 충분히 모유수유가 가능하다. 아이를 45˚이상으로 안고, 가슴으로 구개열 부분을 막고 빨 수 있는 자세를 취한 후, 수유를 시작한다. 수유 중에 쉭쉭쉭 소리가 나는 경우 자세를 다시 변경해서 젖을 물린다.  수유시간은 아이가 먹은 양과 상관없이 30분을 넘지 않게 하고, 젖꼭지의 위치는 볼쪽에 위치해서 젖이 흘러내려 들어가도록 한다. 무엇보다 구순구개열이 있는 아이들은 구강을 진공으로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트림을 자주 시켜주는 것이 좋다. 

 

구순열 교정 수술 후

 

수술 후에는 수술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입술에 긴장을 주는 행위를 금해야 한다.  울거나, 기침, 손가락 등을 빨게되면

수술부위가 다시 벌어지거나 흉터가 심하게 남을 수 있다.  얇고 둥근 모양의 금속장치인 로간 보우 (logan bow)를 부착해서 수술 부위가 부딪치거나 움직이지 않게 해준다. 또한, 똑바로 누워서 재우고, 분비물 처리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옆으로 눕히고, 엎드려서 눕히는 것은 절대 하지 않는다.

 팔꿈지 억제대나 자켓 억제대를 사용해서 아이 스스로 수술부위를 비비거나 자극하지 못하게 한다. 

 

구개열 교정 수술 후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배를 아래로 가게 하고, 머리를 낮춰준다. 사탕이나 단단한 과자의 경우 새로 복구된 구개에 상처를 낼 수 있어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물을 먹을 때는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컵으로 마실 수 있게 한다. 

수유 후에는 감염방지와 상처치유 회복을 위해 증류수나 식염수로 입안을 행궈주는 게 좋다. 

중이염이 잘 발생될 수 있어서 귀에 통증이 있어하거나, 병원 내원시 자주 확인해서 검사하는 것이 좋다. 

 

구순열과 구개열의 경우 태생기에 발생하는 안면기형으로, 발견 시기가 빠를수록 만성적인 장애나 후유증이 남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언어 장애가 생길 수 있는 만큼 회복 과정에 오랜시간이 소요된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