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육아 정보 : 보이지 않는 적 기생충 : 구충제의 복용법

슬기로로 2024. 3. 16. 15:45
반응형
SMALL

 

몸속 기생충을 위해 1년에 한번 구충제 복용 

 

: 우리나라 1960 - 1970년 대만 해도 우리나라 국민의 기생충 감염률은 50 ~ 80%나 되었다.

왜냐하면 그 당시는 우리나라 가정의 대부분은 농가였다.  그때는 거름을 주로 인분을 사용했기 때문에 흙 밖으로 유출된 인분 덕분에 높은 감염률을 자랑하였다. 

  그래서 기생충 감염률을 낮추기 위해 학교나 보건소에서 매해 봄, 가을에 구충제를 나눠 줬던 기억이 있다.  지금은 안하지만 그때는 구충제 복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학교로 인분을 들고 오라고 했다고 한다. 

 그때 당시의 사용된 구충제는 죽은 기생충을 변 속에서 확인할 수 있었지만, 지금의 구충제는 복용하면 기생충을 바로 녹여버리기 때문에 변 속에서 확인은 불가능하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 덕분일까 1997년 우리나라 기생충 감염률은 5%안으로 줄어들었고, 세계보건기구가 인정한 기생충 퇴치 국가가 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붜 기생충 감염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생충 감염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기생충 감염 원인

 - 웰빙 & 생식 열풍

 : 농약을 하지 않고 길러낸 유기농 식품들이 늘어남에 따라 유기농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이러한 유기농 채소들은 농약을 많이 사용한 채소에 배해 기생충의 비율이 높을 수 있다. 

 또한, 로푸드라고 해서 유럽에서 치료목적으로 시작되었다가 미국에서 활발해진 조리방법이다.

불을 사용하지 않고 45도 이하로 야채, 과일, 견과류를 조리한 생채식을 섭취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 애완동물 증가

 : 애완동물의 털과 배설물에 많은 종류의 기생충이 있다.

 이러한 기생충들이 손과 입을 통해서 인체로 들어오게 된다


구충제의 성분과 효능

  플루벤다졸 (젤콤) 알벤다졸
함량 500mg 1정 or 1포(15ml) 400mg 1정
치료 가능한 기생충 종류 회충, 요충, 편충, 십이지장충 회충, 요충, 편충, 십이지장충,
복용 가능한 나이 12개월 이상 24개월 이상
  단회요법 단회요법

 

 - 일반의약품으로써 의사의 처방없이 구입이 가능하고 효능은 플루벤다졸과 알벤다졸 둘다 비슷하다.


구충제의 복용법 및 부작용

- 유기농 식품을 자주 사먹는 경우, 생식을 하는 경우,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아이가 흙 놀이를 많이 하는 경우, 아이가 단체 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1년에 1~2회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 플루벤다졸의 경우 12개월 이상이면 1포를 다 먹이고, 알벤다졸 같은 경우는 24개월 이상에게만 사용이 가능하다.

아이가 어리다고 구충제를 나눠먹이지 않는다. 구충제는 몸에 크게 흡수가 되는 약이 아니고, 선택적으로 기생충만 굶겨 죽여서 없애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영.유아를 비롯해 성인까지 복용 용량은 똑같다. 

 

 - 복통 및 구토

 : 가장 큰 부작용으로써 기생충에 대량으로 감염되었을 때, 혹은 기생충이 배출될 때 복통 및 구토가 일어난다. 

 

- 요충

 : 항문 근처가 가렵다고 하면 '요충' 또는 '항문소양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항문소양증은 피부 자체가 원인이 되기도 하기때문에 일단, 피부과나 소아과에 방문해서  항문소양증 관련 진료를 먼저   보는 것이 좋다. 그 후에도 가려워하고 간간히 복통을 호소한다면 요충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요충의 경우 항문 근처에 알을 낳고, 그 알은 1~2주 후에 부화한다.

   항문 근처에 낳은 알까지 없애기 위해서는 구충제 반 알을 먼저 먹이고 1주일 후에 다시 남은 반알을 먹이는 것이 좋다. 

 

 - 구충제는 가족 전체가 함께 복용한다.

 :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 애완동물까지 물병원이나 동물약을 취급하는 약국에서 애완동물 구충제를 따로 구매해서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저녁에 충의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저녁식사 후 잠들기 전에 온 가족이 구충제를 먹고 자는 것이 좋다.


기생충의 종류

- 회충 

 : 대표적으로 흙을 만진 손으로 입을 만졌을때 감염된다.

 채송도 알의 형태로 회충이 있을 수도 있고, 음식과 함께 인체로 들어와 부화해서 감염되었을 수도 있지만  흙을 통한 감염률이 가장 높다. 

 

- 촌충

 : 익히지 않은 돼지고기류에 있는 기생충이다. 

생 돼지고기가 아니더라도 샌드위치 안에 있는 슬라이스 햄에도 촌충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고기를 먹을 때는 꼭 다 익혀서 먹어야 하고, 임산부나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는 익히지 않은 고기, 햄은 먹지 않는게 좋다.

다른 기생충과는 다르게 뇌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심한 두통이 동반되며, 시야가 혼미한 증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 요충

 : 항문이 가렵고 복통이 있다고 한 아이들에게 가장 감염률이 높은 균이다. 보통은 항문소양증인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소아과나 피부과에 방문해서 진료를 보는 것이 좋다. 요충은 항문 근처에서 사는 기생충으로 항문 근처에 알도 낳을 수 있다. 요충에 감염된 아이의 항문에서 요충이 기어나와 이불에 알을 낳기도 한다. 

 

- 편충

 : 편충 또한 곡물, 채소에 알로 붙어있다가 입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또한 여러 동물들의 분변에도 존재하는 충이다.

 

- 십이지장충 

 : 흙으로부터 감염이 가장 많이 이뤄진다. 또한 애완동물의 변에도 십이지장충이 많은 편이기 때문에 애완동물을 키우는 집에서 감염비율이 높다. 십이지장충의 경우 소장에 살면서 피를 빨아 먹어 빈혈을 일으킬 수 있고, 회충보다도 몸을 더 안좋게 만들 수 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