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육아 정보 : 위식도 역류의 원인과 치료 방법

슬기로로 2024. 5. 6. 09:47
반응형
SMALL

 

위식도 역류( Gastroesophageal relux / GER )

위와 연결되는 식도하부 괄약근이 비정상적으로 이완되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 아동의 경우 음식물이 식도를 지나 위에 도달하면 소화작용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데, 위식도 역류가 있는 아동은 위가 수축할 때 위 내용물의 일부가 식도로 유입된다. 위에 있는 음식물은 산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산도가 낮은 식도로 역류하면 산도로 인해 식도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하고, 화끈거리는 느낌을 갖게 된다. 

 

위식도 역류의 원인

 

위식도 역류는 식도하부 괄약근의 기능부전으로 발생하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알려져있지 않다.

1세 미만 영아에서 흔히 발생하고, 2세가 되면 약 60%에서 증상이 사라진다. 약 300 ~ 1,000명 중 1명 정도에서 위식도 역류가 발생한다. 

 

위식도 역류의 증상

 

생후 1주일 정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가장 흔한 증상은 반복적인 구토와 역류이다. 영아 후기까지 증상이 지속되면 반복적인 기침, 폐렴, 반추증 등이 나타나고, 영양소 섭취가 불량하여 체중 증가가 저조하고 성장이 지연된다. 산도가 높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 식도점막이 위산으로 손상을 받게 된다. 

 

위식도 역류의 치료방법

 

위식도 역류 영아에게 제산제( Antacid )나 위산분비억제제를 투여하여 위산의 분비를 줄이고 식도염 발생을 예방한다.

역류를 감소시키는 약물에는 베타네콜( Bethanecol )과 메토클로로프라미드( Metoclopramide ) 등이 있으며, 시사프렌(Cisapride )은 유문괄약근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위의 소화력을 증진시켜 위를 비우는 시간을 촉진한다. 약물요법에 반응이 없거나 해부학적 이상이 있을 때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위식도 역류의 관리법

 

- 우유에 곡물가루를 섞어 걸쭉하게 된 농축유를 먹이면 음식물의 무게로 인해 역류가 감소한다. 곡물가루를 섞은 농축유를 먹일 때에는 구멍이 큰 젖꼭지를 사용한다.

- 위가 가득 차지 않도록 음식물을 소량씩 자주 먹인다.

- 수유 도중이나 수유 후에는 반드시 트림을 시키도록 한다.

-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과일 주스, 매운 음식은 먹이지 않도록 한다.

- 역류를 줄이고 위가 빨리 비워지도록 엎드려 눕힌다.

- 잠을 잘 때에는 상체를 30˚정도 올려 준다. 

- 옷이나 기저귀를 느슨하게 해주어 복부가 압박받지 않도록 한다. 

반응형
LIST